"세계 포병 전력 순위, 한국 1위 등극?"
"미국·중국 제치고 최강 포병국가로 부상... 러시아 4위, 북한 19위"
[지난 7월1일, 디펜스루마니아에 보도된 세계 포병전력 순위]
이번 순위는 지난3월31일 인사이더몽키에서 보도한 내용으로 이 기사에 따르면 각국의 포병 장비 수와 기술적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는 총 8,633대의 포병 장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사는 우리나라의 1위 등극은 북한과의 지속적인 긴장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국방력 강화 노력의 결과로 평가하고 특히 한국의 K9 썬더 자주포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포병 장비로, 여러 국가에 수출되며 한국 방위산업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다고 전했다.
2위는 중국이 차지했다. 중국은 8,464대의 포병 장비를 보유하고 특히 PCL-181과 같은 첨단 자주포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뜻밖에 3위는 미국으로 3,556대의 포병 장비를 보유하고 있지만 기술적 능력에서 가장 앞서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놀랍게도 러시아는 17,638대라는 압도적인 수의 포병 장비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4위에 그쳤다. 이는 장비의 노후화와 상대적으로 낮은 기술력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포탄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어, 향후 순위 변동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점도 짚었다.
특히, 북한은 11,920대의 포병 장비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19위에 그쳤다. 이는 대부분의 장비가 구식이며 기술적 능력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의 대규모 포병 전력이 여전히 한반도 안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지난 3월31일, 미국 인사이더몽키에 보도된 세계 포병전력 탑20]
이 기사에서 이번 순위 발표를 전 세계적으로 포병 전력 강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적시하고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국가들의 포병 전력 증강이 눈에 뛰며 폴란드의 경우. 최근 우리나라로부터 K9 자주포를 대량 구매했으며, 독일은 미국의 HIMARS를 모델로 한 신형 로켓 포병 시스템 개발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사에서는 또한 방위산업 전문가들은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General Dynamics, Lockheed Martin 등 미국 방산기업들의 포병 장비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방산기업들도 세계 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이 기사는 일각에서 포병 전력 증강이 새로운 군비 경쟁을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으며 특히 동아시아 지역에서 우리나라, 중국, 북한의 포병 전력 강화가 지역 안보에 미칠 영향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